본문 바로가기

책 리뷰

싱크 어게인 - 애덤 그랜트

728x90

싱크 어게인

애덤 그랜트

책 읽으러 가기

책속에서

이 책은 다시 생각하기의 가치를 살펴본다. 소방대장 와그너 도지의 목숨을 구한 것과 같은 정신적인 유연성(mental flexibility)을 다루는 책이다. 또한 이 책은 도지가 실패했던 부분, 즉 자신이 아닌 다른 사람들에게 사고의 유연성 및 기민성을 촉발하는 방법도 다룬다.
‘프롤로그’에서

내가 이 책에서 설정한 목표는 다시 생각하기가 일어나는 방식을 탐구하는 것이다. 나는 가장 매력적인 증거를 찾아냈으며 세계에서 가장 숙련된 다시 생각하기 기술 보유자들을 찾아냈다. 독자들은 이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알게 될 것이다. 과거에 전향적인 생각을 하던 기업가가 왜 덫에 걸리고 말았는지, 오랜 기간에 걸쳐 공직에 도전했던 후보자가 왜 가면증후군을 약점이 아니라 강점으로 보게 되었는지, 노벨상을 받은 과학자가 어떻게 해서 자기가 틀렸을 때 슬퍼하지 않고 오히려 기뻐했는지, 세계 최고의 예측가들이 자기 견해를 어떻게 업데이트하는지, 그리고 오스카상을 받은 영화 제작자가 어떻게 생산적인 싸움을 벌여 나가는지 등에 대해서 말이다.
‘프롤로그’에서

사람들은 대부분 자기가 가진 지식과 전문성에 긍지를 느끼며 자신의 믿음과 의견을 고수하는 데 자부심을 가진다. 자기 생각에 확신을 가질 때 보상을 받는 안정된 세상에서라면 이런 접근이 일리가 있다. 그러나 문제는 우리가 사는 지금 세상은 눈이 핑핑 돌 정도로 빠르게 변화하는 세상이라는 데 있다. 이런 세상에서는 생각하는 데 보내는 시간만큼이나 많은 시간을 다시 생각하기에 써야 한다.
‘1장 우리 마음속의 전도사, 검사, 정치인, 그리고 과학자’에서

병원의 환자 사망률이 가장 높은 때는 1년 중에서도 새로운 레지던트들이 부임해서 진료를 보기 시작하는 6월이다. 그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는지도 모른다. 신참 의사들의 능력 부족이 위험한 게 아니라, 자기 능력을 과대평가하는 그들의 마음가짐(사고방식)이 위험하다. 초심자에서 아마추어로 나아갈 때 다시 생각하기 사이클이 깨질 수 있다. 사람은 경험이 쌓이면서 겸손함을 잃는다.
‘2장 안락의자 쿼터백과 가면을 쓴 사기꾼’에서

나중에 카너먼과 점심을 먹는 자리에서 나는 그가 보인 반응에 대해 물었다. 무척이나 재미있다는 표정으로 눈을 연신 깜박거리던 그의 모습이 나에게는 ‘자기가 틀렸음을 확인할 때 느끼는 기쁨’으로 비쳤기 때문이다. 그는 85년 인생을 살면서 누가 자기에게 그런 말을 한 적이 한 번도 없긴 했지만, 아무튼 자기가 틀렸다는 사실을 알아서 진정으로 기쁘다고 말했다. 왜냐하면 그것은 그가 이제는 예전보다 덜 틀리게 되었음을, 즉 몰랐던 사실을 새롭게 하나 더 알았음을 뜻하기 때문이라고 했다.
‘3장 틀렸을 때 느끼는 기쁨’에서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어떤 분쟁을 의견불일치가 아닌 토론으로 규정하는 것만으로도 자기가 동의하지 않는 의견을 충분히 고려해서 마음을 바꿀 수도 있다는 신호로 상대방이 받아들이며, 따라서 상대방이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도록 동기를 부여한다. 의견불일치는 개인적인 것이며 잠재적으로 적대적이기까지 하다. 어떤 토론이든 토론을 할 때면 우리는 감정이 아니라 개념이나 아이디어를 놓고 다툴 것이라고 기대한다.
‘4장 어느 멋진 파이트클럽’에서

일반인과 전문가 사이의 한 가지 차이점은 협상 테이블에 앉기도 전에 뚜렷하게 드러난다. 연구자들은 협상이 시작되기 전에 두 집단에게 협상 계획이 무엇인지 물었다. 이때 평균적인 협상가들은 기대되는 합의 내용은 따로 살피거나 챙기지 않고 오로지 전투 준비만 열심히 했다. 그런데 전문 협상가들은 상대방과 밟아나갈 수도 있는 일련의 스텝의 종류와 순서를 미리 정리했다. 즉 전체 협상 계획의 3분의 1을 상대방과 합의할 수 있는 내용을 찾는 데 할애한 것이다.
‘5장 적과 함께 춤을’에서

때로 고정관념을 벗어던진다는 것은 자기가 증오하는 집단에 속하는 많은 구성원이 사실은 증오의 대상이 될 만한 사람이 전혀 아님을 깨닫는다는 뜻이다. 그리고 이런 깨달음은 그 구성원을 본인이 직접 만날 때 한층 잘 일어난다. 사회과학자들은 지금까지 5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집단과 집단 사이의 접촉이 가져다주는 효과를 시험해왔다. 총 실험 참가자가 25만 명이나 되는 500건이 넘는 논문을 대상으로 한 메타분석 결과를 보면, 전체 가운데 94퍼센트에 해당하는 경우에서 다른 집단에 속하는 사람들과 어떤 식으로든 접촉해서 소통할 때 그들이 가지고 있던 편견이 줄어들었다.
‘6장 다이아몬드에 묻은 나쁜 피’에서

상대방에게 공감하고, 개인적인 판단을 앞세우지 않으며, 상대방이 하는 말을 경청하는 태도는 상대방을 불안과 방어적인 태도에서 해방한다. 이럴 때 상대방은 자기 앞에 있는 사람과의 갈등을 피하고 싶다는 압박감을 덜 느꼈으며, 그 덕분에 자신의 태도나 견해를 보다 깊이 탐구해서 미묘한 차이들을 깨달았다.
‘7장 백신을 속삭이는 사람과 부드러운 태도의 심문자’에서

우리에게 도움이 되는 것은 상대방의 관점으로 관점을 바꾸는 게 아니라 상대방의 관점이 무엇인지 찾는 것이다. 즉 실제로 그 사람과 대화해서 그들이 가지고 있는 의견 속의 미묘한 차이들을 찾아내야 한다. 바로 이것이 훌륭한 과학자가 실천하는 방식이다. 과학자는 최소한의 단서들만을 토대로 상대방에 대한 결론을 두루뭉술하게 그리는 게 아니라 대화를 통해 자신이 설정한 가설들을 검증한다.
‘8장 격앙된 대화’에서

좋은 교사는 새로운 생각으로 인도하지만 위대한 교사는 새롭게 생각하는 방식으로 인도한다고 나는 믿는다. 어떤 교사의 지식을 어떤 학생이 수집하면 이 학생은 그날의 과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겠지만, 어떤 교사의 생각하는 방식을 이해하면 인생의 과제를 헤쳐나가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9장 교과서 다시 쓰기’에서

당신은 그 사실을 어떻게 아는가? 이것은 우리가 자주 해야 하는 질문이다. 자기 자신에게, 그리고 다른 사람에게. 이 질문의 힘은 이 질문이 요구하는 솔직함에 있다. 이 질문은 개인적인 판단을 피하고자 하는 것이다. 사람을 방어적으로 몰아세우지 않는, 의심과 호기심의 솔직한 표현이다.
‘10장 그것은 우리가 늘 해오던 방식이 아니다’에서

결국 과도한 확신 사이클의 함정에 빠져서는 직업 정체성을 추구하는 자기 모습에 자부심을 가지면서 자기의 확신을 지지하고 인정하는 사람들만 자기 주변에 둘러 세운다. 하지만 이것이 잘못된 선택이었음을 깨달을 때는 이미 다시 생각하기에는 너무 늦었다. 그 시점에서 새로운 길을 찾기에는 연봉, 지위, 전문성, 시간 등 너무 많은 것을 포기해야 할 것 같기 때문이다. 분명히 말해두지만, 지나간 2년 동안에 이룬 것을 잃어버리는 것이 다음 20년을 낭비하는 것보다 더 낫다고 나는 생각한다.
‘11장 터널시야 탈출하기’에서

처음으로 독립적인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내가 가지고 있던 몇 가지 예측을 검증했는데, 내가 설정했던 10개 남짓한 가설이 '거짓'으로 판명되었다. 이 경험은 지적 겸손함을 일깨우는 커다란 교훈이 되었다. 그러나 나는 전혀 위축되지 않았다. 오히려 짜릿한 희열을 느꼈다. 내가 틀렸다는 사실을 발견하는 것이 기뻤다. 그 발견은 몰랐던 사실을 새롭게 배웠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카너먼이 말한 것처럼 '틀렸음을 깨닫는 것은 내가 무언가를 배웠다고 확실하게 느낄 수 있는 유일한 길'이기 때문이다.

기억에 남는 문구

논쟁에서 상대방을 압도한다고 해서
그 사람을 설득한 것은 아니다.

이 책을 추천한 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