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 리뷰

바보야, 문제는 돈이 아니라니까 - 고미숙(Ko Mi-Sook)

728x90

바보야, 문제는 돈이 아니라니까

고미숙(Ko Mi-Sook)

황혼의 자본주의시대를 살아가는 존재들을 위한 고미숙의 인문처방전. 언제부터인가 “문제는 경제야”라는 말이 끊임없이 들린다. 마치 경제만 풀리면, 더 노골적으로 돈만 있으면 우리가 지금 겪는 삶의 어려움들이 모두 해결될 것처럼. 하지만 정말 그런가? 고미숙의 자문(自問)은 여기에서 출발하여 우리시대 우리 삶의 문제들과 하나씩 부딪혀 간다.

물질적으로 가장 풍요로운 이 시대에 어째서 이렇게 자살과 우울증과 타인에 대한 혐오와 자기 파괴는 날이 갈수록 많아지고 끊이지 않는지, 열심히 쌓는 스펙이 왜 인생을 구원하지 못하는지, 왜 삶의 현장을 다루는 정치와 경제가 삶의 근원인 ‘몸’과 만나지 못하는지, 장수의 축복이 어째서 노년도 청년처럼 사는 것으로―중년 이후의 삶이 ‘안티 에이징’을 향해서만 달려가게 되었는지….

이 삶의 문제들을 장자와 동의보감 등 동양고전은 물론 들뢰즈와 스피노자 등 서양철학자들의 사유와 함께 풀어 나가며 저자는 삶을 위한 정치, 생명과 통하는 경제는 어떻게 가능한지, 궁극적으로 자기 자신이 충만한 삶을 살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지에 대해 저자 자신의 삶의 경험과 함께 말한다.

책 읽으러 가기

책속에서

정치경제학은 그것이 아니라고 말하고 싶어서다. 정치건 경제건 핵심은 삶이다. 삶의 리듬과 현장을 창안하는 것이다. 한 정의에 따르면 경제학은 ‘인생, 우주, 그리고 모든 것’에 관한 궁극적 질문을 다루는 학문이란다. 정치는 본디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에 대한 탐구다. 경제학이 정치와, 정치가 인문적 사유와 만나야 하는 이유도 거기에 있다. 그런데 왜 질문이 온통 그렇게 일방향으로 쏠려 있는가? 정치건 경제건 오직 성장과 복지라는 목표가 전부다. 그럼 GDP가 상승하면, 일자리가 늘어나면, 임금이 오르면 만사형통인가? 그렇다고 치자. 그럼 그 다음엔 대체 어떤 삶이 펼쳐지는가? (본문 「인트로_‘몸과 우주’가 ‘정치경제학’을 만나면?」 중에서)

아무리 잘나가는 경영인도, 최고의 정치가도 결국은 은퇴를 해야 한다. 그때 필요한 건 딱 두 가지뿐이다. 철학과 우정! 그런 노년을 맞이할 수 있다면 그보다 더한 축복은 없으리라. 또 그런 노년이라야 비로소 청년들의 멘토가 될 수 있다. 노년의 지혜와 청년의 열정, 청년의 끼와 노년의 경륜, 이것들이 활발하게 교차할 수 있다면! 정치경제학이 삶을 창조하는 것이라면 그 창조의 포인트는 바로 이 지점이어야 한다. (본문 「3장_사주명리학과 안티 오이디푸스」 중에서)

장수는 분명 축복이다. 한데, 우리시대는 그 기쁨을 누리기보다 당혹해하는 기색이 역력하다. 노년에 대한 노하우가 전혀 없기 때문이다. 쉽게 말해 봄과 여름에서 가을로 건너가는 ‘금화교역’金火交易: 우주의 대혁명은 물론이고, 겨울을 장엄하게 맞이하는 ‘소멸의 지혜’가 부재한다. 우리가 생각하는 장수란 봄-여름-늦여름-늦늦여름, 다시 말해 청춘의 연장에 불과하다. 그래서인가. 언제부턴가 얼굴에서 나이가 사라져 버렸다. 20대와 40대가 잘 구별되지 않는다. 아울러 정신연령도 한없이 낮아지고 있다. 마흔이 되어서도 엄마의 품을 벗어나지 못하고, 쉰 이후에도 사춘기적 정서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두드러진 징표가 목소리다. 혀 짧은 소리에 옹알거리는 말투, 하트 뿅뿅으로 대변되는 유치한 표현들이 난무한다. 한마디로 어른이 없다! (본문 「6장_ 계급투쟁에서 세대갈등으로」 중에서)

전 세대가 젊은이가 된다면 참 좋은 일이 아닐까, 싶겠지만, 천만에 말씀! 자본주의가 표방하는 청춘이란 노동의 주체이자 성욕의 화신이다. 노동과 생산이 더 이상 불가능해지면 뭐가 남을까. 당연히 성욕이다. 광고가 날마다 주입하는 주술이기도 하다. 우리나라가 성형천국, 포르노 공화국이 된 것도 같은 맥락에 있다. 예전에는 이팔청춘에 짝짓기를 하고 아이를 낳아 키운 다음, 즉 폐경기에 접어들면 ‘남성/여성의 이분법’을 벗어나 자유로운 인간으로 살아가는 것이 자연스러운 스텝이었지만 이젠 사정이 다르다. 생로병사의 전 과정에 성욕이 따라다닌다. 드라마를 보라. 40대 고모도, 6,70대 노모도 잃어버린 짝을 찾느라 분주하다. “내 나이가 어때서?”를 외치면서. 고령화사회지만 노인문화가 성숙해진 것이 아니라 노인도 사춘기처럼 살아야 하는 시대가 된 것이다. (본문 「6장_ 계급투쟁에서 세대갈등으로」 중에서)

자본은 봄/여름만 알지 가을/겨울은 알지 못한다. 오직 소유하고 증식할 뿐, 버리고 비우는 것에 대해서는 상상조차 하지 않는다. 인생을 청년기에만 묶어 놓은 격이다. 즉, 청년기의 야망―노동과 화폐와 에로스―을 어떻게 증식할 것인가에 대한 공학과 기술만 있을 뿐! ‘노동을 벗어난’ 삶, ‘화폐 없이 사는’ 법, ‘욕망 없는’ 삶의 가치를 배운 적이 없다. 그렇다! 배움이라는 과정이 없이 청년기를 통과한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길 위에서 ‘길’찾기, 곧 인생의 서사를 잊어버렸다. 중년 이후의 이념과 가치는 오직 ‘안티 에이징’이다. 그 결과 우리시대 중년들은 청년을 질투하면서, 또 청년을 모방하고 표절하면서 살아간다. 억지로 열정적인 척 하면서, 피부의 ‘골든타임’을 지키느라 안간힘을 쓰면서, ‘내 나이가 어때서? 사랑하기 딱 좋은 나이!’라고 우기면서. (본문 「7장_ 트랜스 제너레이션 혹은 마주침의 윤리학」 중에서)

이 책을 추천한 크리에이터

이 책을 추천한 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