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 리뷰

발버둥치다 - 박하령

728x90

발버둥치다

박하령

책 읽으러 가기

책속에서

“봤어? 그 똥색 한복 입은 아줌마 손버둥 치면서 버벅거리던 거?”
“어. 자기 딸 응원 왔대.”
“에이, 설마…… 그 아줌마 딸이 토론 대회에 나왔다고? 이렇게 손버둥 치면서 해? 그게 말이 돼?”
난 대번에 알아먹었다. 노랑머리가 말한 똥색 개량 한복을 입은 사람이 우리 엄마라는 걸. 수어를 하는 엄마를 보고 노랑머리는 ‘손버둥 친다’고 나름의 표현을 하고 있다. 수어는 엄밀한 언어이건만 정말 무식하기 짝이 없는 애다. 게다가 농아의 딸은 무조건 농아일 거라고 생각하다니…… 무식의 정점을 찍는다. 정말 화가 났다. 그러므로 그 애를 향해 흰자가 허옇게 드러나도록 눈이라도 흘겨야 마땅하건만 난 그러지 못했다. 그 순간 엄청난 본능의 힘에 이끌려 도망칠 궁리를 하기 시작했다.

“할머니나 엄마는 우리는 가족이니까 우리를 위해서 머리 큰 네가 희생하고 헌신해야 하는 거라고 늘 그러셔. 게다가 매스컴에서도 사랑은 희생이고 어쩌고저쩌고 다들 그러잖아. 그러니까 그게 맞는 소리겠지? 근데 난 가끔 대체 ‘우리’가 어디 있는 거야? 우리의 실체가 뭐야? 이딴 생각이 들어. 아니 왜 내가 눈에 보이지도 않는 ‘우리’를 위해 희생을 해야 하는 거지? 이런 반발심도 생기고…… 어른 되면 어차피 다들 찢어져서 자기 인생 살 텐데…… 내가 못된 건가? 암튼 난 기회가 닿아 갈림길에 서게 되면 희생은 안 하는 쪽으로 냅다 뛸 거야.”

내가 뭔가 다르기 때문에 더 노력해야 한다는 채무감도 어렴풋이 가졌던 것 같다. 그래서 난 더더욱 엄마, 아빠의 일에 열과 성을 다해서 도움을 줘야 한다고 생각했다. 난 엄마, 아빠의 의미 있는 지팡이가 되어야 한다며. 그것만이 내가 태어난 이유라도 된다는 듯이. 그래서였을까? 나의 그런 태도가 우리 집에서는 당연한 패턴이 되어 버려서 어느 순간부터 엄마는 내게 ‘내가 못 하는 거니까 당연히 네가 해야지’ 하면서 몰아세우기 시작했다. 엄마, 아빠의 모든 스케줄은 나의 스케줄에 앞섰다. 사랑하는 가족이니까. 사랑은 자기 권리를 아낌없이 포기하는 거니까.

‘난 엄마를 싫어하는 것도 아니고 정말로 사랑하는데…… 왜 엄마를 보면 괴롭고 도망치고 싶은 마음이 드는 걸까?’
왜 우리는 아픈 사랑을 하고 있는 걸까? 혹시 엄마하고 나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오르다 보니 서로를 얽어매게 된다는 등나무와 칡과 같은 존재인 걸까? 편평한 땅에 서로 적당한 거리를 두고 선 늘씬한 나무들처럼, 각자 내린 튼실한 뿌리로 하늘을 향해서 거침없이 자라는 의연한 나무처럼 우리도 그렇게 지낼 수는 없는 걸까? 너무 아픈 사랑은 사랑이 아닌 것만 같다.

이 책을 추천한 크리에이터

이 책을 추천한 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