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속에서
나는 은상 언니와 지송이를 어릴 때부터 오래 알고 지내던 친구들보다 더 가깝게 느꼈다. 오히려 ‘원래 친구들’보다 할 이야기도 훨씬 많고 잘 통하는 면이 있었고 가끔 그런 사실을 곱씹어보면서 신기해하기도 했다. 돌이켜보면 그럴 만도 했다. 우리는 잠자는 시간을 제외한 하루 대부분을 회사에서 보내고 있었고 그래서 내게 벌어지는 일들은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회사 일’이었다. 기쁜 일도, 슬픈 일도, 웃기는 일도, 화나는 일도, 통쾌한 일도, 기가 막힌 일도. 은상 언니, 지송이와 그런 일들에 관해 이야기할 때는 주요인물과 선행 사건들을 공유하고 있어서 배경 설명을 따로 할 필요가 없었다.
벌써 다 알고 있다는 느낌, 미래에서 나를 과거처럼 내려다보고 있는 것만 같은 기묘한 감각이 일었다. 언제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내가 더는 이 회사에 다니지 않는 때가 온다면, 그리고 그때 이곳을 그리워할 수 있게 된다면, 다른 게 아니라 정확히 바로 지금 이 장면을 그리워하게 될 것이라는 예감. 나는 지금 이 순간의 한복판에 서서 이 순간을 추억하고 있었다.
“야! 니가 그럴 자격이 왜 없냐? 그럴 자격 있다. 누구든 좋은 걸, 더 좋은 걸 누릴 자격이 있어. 그럴 자격이 없는 사람은 세상에 없어. 너도, 나도, 우리 엄마도. 그건 다 마찬가지인 거야. 세상에 좋은 게, 더 좋은 게, 더 더 더 좋은 게 존재하는데, 그걸 알아버렸는데 어떡해?”
은상 언니가 야광봉을 쥔 한쪽 팔을 허공에 쭉 뻗고서는 내 귀에 대고 속닥였다.
“걱정 마. 우리 저기까지 갈 거잖아.”
노란 빛살을 내뿜는 야광봉의 끝이 밤하늘의 달을 가리키고 있었다. 반쪽은 캄캄한 어둠 속에 잠겨 있고 또다른 반쪽은 시원하게 빛나고 있는, 아주 정확한 반달이었다.
아무도 내게 주말 출근을 강요하진 않았다.
그저 월요일까지 마무리해야 할 일이 남아 있을 뿐이었다. 그것도 두세시간쯤 집중하면 끝날 정도의 많지 않은 양이었다. 그냥 집에서 해도 상관없었지만 나는 이럴 때 주로 회사에 나가는 쪽을 택했다. 주말에 가깝지도 않은 회사까지 구태여 출근하는 게 누군가에게는 미스터리처럼 보일 수 있다. 물론 처음엔 나도 그런 입장이었지만 많은 업무량에 한창 허덕이던 시기에 자발적인 주말 출근을 몇번 해본 후 깨달았다. 주말의 회사는 평일만큼 기운을 축내는 공간은 아니라는 것을. 어떤 면에서는 충전이 되기도 한다는 사실을. 단, 나를 제외하고 사람이 한명도 없다는 전제하에 말이다.
지긋지긋했다. 아직 대리도 못 단 주제에 이런 말 하는 게 웃긴다는 건 알지만, 벌써 신물이 났다. 보수적인 조직, 멍청한 리더, 짜디짠 박봉, 밀어주고 끌어주는 인맥의 부재, 배움 없이 발전 없이 개인기로 그때그때 업무 쳐내기, 별다른 혁신도 자극도 없이 평생 이 상태로 근근이 유지만 할 것 같은 정체된 업계...... 여기에서는 도무지 미래가 보이지 않았다.
기억에 남는 문구

'책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까짓, 작심삼일 - 플라피나 (0) | 2021.08.18 |
---|---|
마케팅이다 - 세스 고딘(Seth Godin) (0) | 2021.08.17 |
김대중 자서전 1 (양장) - 김대중 (0) | 2021.08.17 |
바가바드 기타 (0) | 2021.08.13 |
잠자면서 성공한다 - 조셉 머피(Joseph Murphy) (0) | 2021.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