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속에서
비와 관련해 떠오르는 두 장면이 있다. 언젠가 중국 옌지 들판에서 한 할아버지가 아기를 업고 빗속을 걸어가는 모습을 보았다. 벌거벗은 노인과 아기의 몸은 잘 먹지 못해 마른 수숫대처럼 여위었다. 노인은 비에 온전히 자신의 몸을 내맡겼다. 더이상 젖을 옷이 없기에 비를 피해 뛰어갈 필요도 없었다. 어린 자연을 업고 걸어가는 늙은 자연, 이상하게도 그 처연한 모습에서 어떤 평화가 느껴졌다.
_ ‘비의 방’ 중에서
그 보이지 않는 손은 신일 수도 있고 운명일 수도 있다. 고통이 주어졌다는 것은 신이 우리 곁을 지나가고 있다는 신호라고 할 수 있다.
_ ‘엎드릴 수밖에 없다’ 중에서
그 보이지 않는 손이 삶을 강하게 구부릴 때, 당신은 어떻게 하는지? 더 낮게, 더 낮게, 엎드리는 것 말고는 다른 도리가 없다. 바람이 지나갈 때까지 뿌리는 흙을 향해 더 맹렬하게 파고드는 수밖에 없다. 그렇게 엎드렸던 흔적들을 나무도 사람도 지니고 있다.
그날 저녁 산책에서 돌아와 아이들에게 제법 비장하게 말해두었다. 내가 세상을 떠나면 양지바른 언덕이나 강가에 묘비 대신 벤치를 놓아달라고. 죽어서도 차가운 대리석 묘비보다는 나무의자가 따뜻할 것 같다고. 그 벤치에 누군가 앉아 생각에 잠겼다 가거나 사랑을 나누어도 좋겠다고. 아니면 오늘처럼 아무도 앉지 않고, 종일 흰 눈만 소복하게 쌓여도 좋으리라.
_ ‘묘비 대신 벤치를’ 중에서
자신의 뒷모습을 직접 볼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타인에게 포착된 시선을 통해서만 자신의 뒷모습을 확인할 뿐이다. 누군가는 내 뒷모습에서 때로는 쓸쓸함을, 때로는 차가움을, 때로는 경쾌함을 읽어냈으리라. 타인의 시선에 무방비로 노출된 등을 가졌다는 것. 자신이 알지 못하고 어찌할 수도 없는 신체의 영역이 있다는 것이 왠지 두렵고도 안심이 된다.
_ ‘뒷모습을 가졌다는 것’ 중에서
원래 아름다운 대상이 정해져 있는 게 아니라 무언가 발견해낸 자가 느낀 경이로움에 의해서만 만물은 아름다워질 수 있다는 얘기다. 그런데 만일 봄이 아닌 다른 계절이었다면 어떠했을까. 그 정도로 강렬한 인상과 연민을 불러일으키지는 못했을 것 같다. 기나긴 겨울잠에서 깨어나 만물이 하나둘 피어나는 봄날의 모습은 다른 계절에 느끼는 자연의 변화와는 분명히 다르고 특별하다. 살아 돌아온 모든 존재들에게 한없는 찬탄과 축복을 보내고 싶은 계절. 연록빛 새순과 꽃망울들을 보면 저 여리고 고운 빛이 어디에 숨어 있다가 나타나는지 궁금해지는 계절.
_ ‘봄을 봄’ 중에서
북경의 오래된 골목에서 한 벽을 발견하고, 나는 깜짝 놀랐다. 벽 속에서 누군가 나를 지켜보고 있는 것 같았다. 두 눈을 부릅뜬 커다란 원숭이 한 마리. 물론 수도관에서 쏟아진 흙탕물이 바람에 휩쓸리며 남긴 형상을 무엇으로 보느냐는 사람마다 다를 것이다. (…) 그러고 보니 벽을 뚫고 들어가고 싶은 것은 꽤 보편적인 욕망인 듯하다.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벽을 만날 때마다 한 번도 들어가보지 않은 그 집의 내부를 상상의 열쇠로 열고 들어간다. 우연히 벽에 남겨진 시간의 흔적, 벽이 들려주는 이야기는 끝없이 펼쳐진다.
_ ‘벽은 말한다’ 중에서
무언가를 기다린다는 공통점만으로도 그들은 쉽게 길 위의 친구가 된다. 기다려야 할 시간이 길수록, 터미널이 작고 사람이 많지 않을수록 더 쉽게 친밀해진다. 그들은 자신이 찾아가는 존재, 또는 기다리는 존재에 대해 이야기하기 시작한다. 마치 서로 다른 전류가 한 지점에 모여드는 전극처럼, 그 순간 터미널에도 마음의 전류가 흐르기 시작한다.
_ ‘터미널이라는 곳’ 중에서
터미널은 단순한 종점이 아니다. 터미널terminal의 어원인 ‘term’에는 ‘끝’이라는 뜻과 함께 ‘경계’라는 뜻도 들어 있다. 누군가에게는 종착지인 곳이 누군가에게는 출발점이기도 한 곳. 또 누군가에게는 반환점이거나 경유지이기도 한 곳. 수많은 사람들이 종종걸음으로 스쳐가는 곳이지만, 낡고 때묻은 의자에 잠시 앉아 삶의 온기를 나눌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여기에 앉아 있는 몇 사람처럼.
이제 보니 내가 써온 시들 역시 그 울음소리를 닮아 있다. 내 시뿐 아니라 문학이란 그런 삐걱거림 또는 파닥거림의 기록이 아니던가. 시는 근원적으로 무애無碍한 비상을 꿈꾸지만, 그것이 빚어지는 공간은 오히려 비상을 불가능하게 만드는 조건들로 이루어지기 마련이다. 그렇다면 그 생존의 울음소리는 피해야 할 소리가 아니라, 고통스럽게 귀기울여야 할 소리가 아닐까. 내 귀를 막고 있는 밀랍 조각을 들어내고 내 몸을 단단하게 묶고 있는 사슬을 거두어내면서라도. 글쎄, 석모도 갈매기로 환생한 사이렌들이 이런 내 생각을 알게 된다면, 다음 뱃길에선 울음소리 대신 막막한 침묵으로 나를 맞을지도 모르겠지만…….
_ ‘두 조나단 사이에서’ 중에서
기억에 남는 문구
'책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30년차 광고 마스터가 최초로 공개하는 설득의 12가지 법칙 - 김시래 (0) | 2020.08.13 |
---|---|
전쟁과 평화 -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Смерть Ивана Ильича(Lev Nikolaevich Tolstoi)) (0) | 2020.08.13 |
입버릇을 바꾸니 행운이 시작됐다 - 야마나 유코 (0) | 2020.08.13 |
언택트 비즈니스 - 박경수 (0) | 2020.08.12 |
역사의 쓸모 - 최태성 (0) | 2020.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