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속에서
우리 각자가 가지는 인간 고유의 특유함에 대한 본질적 성찰과 그로부터 나오는 동력을 폄하하는 태도는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우리가 만든 것들에 의해 우리 스스로를 소외시킨다. 그리고 숱한 복잡성 속에서도 여전히 건재해온 최고의 동력 원천을 근원적으로 상실하게 만들 것이다. 우리 자신에 대해 아는 만큼 소외의 피폐감에서 자유로울 수 있다. 기계에 둘러싸여 기계와 비교되며 잦아들어버린 나만의 청정 영역인 휴탈리티를 찾고 밝혀 드러내야 한다.
(‘우리는 모두 저평가되어 있다’에서)
기술 역량은 자신의 우선순위와 방향을 스스로 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자신이 발명한 것으로 무엇을, 왜, 어떻게 할 것인지 결정할 능력이 없다. 진보한 유전공학 기술을 암 치료에 이용해야 할까, 슈퍼 히어로를 만드는 데 써야 할까, 우유 생산량이 대폭 증가된 젖소를 만드는 데 써야 할까에 대해 기술 역량은 말이 없다. 어떤 용도를 다른 용도보다 더 선호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기술 역량은 중립을 고수한다. 이 이유를 만들어 제시할 수 있는 것은 오로지 해석 역량의 역할이다. 우리에게는 기술 못지않게, 아니 그 이상으로 우리 자신과 세상을 객관화해서 인지하고 의미 체계를 구성함으로써 방향을 제시해 그 결과를 해석하는 힘이 필요하다.
(‘인재를 검증하는 두 가지 역량: 기술 역량과 해석 역량’에서)
어제 여기서 성과를 낸 사람들이 내일 거기에서도 성과를 내기 쉬울까? 어제까지 흙바닥 운동장에서 뛰어난 활약을 보여준 슛돌이가 내일 생전 처음 접하는 잔디구장 경기에서 그 명성을 이어갈 수 있겠는지 생각해보라. 시공간이 반영된 성과 공식을 따져보면 어제 여기서 성과를 낸 이가 내일 거기에서도 성과를 낼 것이라는 말이 얼마나 낙관적이고 주관적인 기대였는지 단번에 알 수 있다. 내일이면 어제 뛰었던 흙바닥 운동장이 잔디구장으로 바뀌고 흙바닥 운동장에서 통했던 드리블과 패스, 슈팅력이 잔디 위에서는 통하지 않을 수 있다.
(‘어제의 인재가 미래의 인재는 아니다’에서)
기계가 보유한 비인간적인 능력 중 특별히 중요한 두 가지는 네트워킹과 업데이팅이다. 인간은 개별자이기 때문에 서로 연결해서 모두를 최신 상태로 유지하기가 어렵다. 반면 컴퓨터는 개별자가 아니므로 하나의 탄력적인 네트워크로 통합하기가 쉽다. 이렇게 보면 우리 인간이 직면한 위협은 수백만의 개별 인간 노동자가 수백만의 개별 로봇과 컴퓨터로 대체되는 것이 아니다. 문제는 인간 자체가 통합된 네트워크에 의해 원천적으로 대체될 가능성이 높다는 데 있다. 이제 인간 운전사 한 명을 자율주행 차량 한 대와 비교하거나 인간 의사 한 명을 로봇 의사 하나와 비교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인간 개인의 능력들을 합산한 것을 통합 네트워크의 능력과 비교해야 한다.
(‘얼마나 줄어드는가보다 어떻게 바뀔 것인가가 중요하다’에서)
21세기는 우리를 해킹해서 우리보다 우리를 훨씬 더 잘 아는 알고리즘을 만들려고 하고 있다. 이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한 초기 관건은 누가 데이터를 더 많이 소유하는가에 있다. 데이터를 확보하려면 뭔가를 공짜로 자꾸 주어야 한다. 상호 이득이라며 공짜로 나누도록 하는 와중에 데이터 부스러기가 떨어진다. 이 데이터에 대한 미래의 진짜 임자는 당장 공짜로 뭔가를 제공한 자가 될 것이다. 데이터 소유자는 어마어마한 프리미엄을 독점할 확률이 높다. 공유 경제를 표방하지만 사실은 더 고도화된 소유 경제인 것이다.
(‘데이터를 소유한 자가 미래를 소유한다’에서)
내재화가 잘 되지 않고 내사화로 빠지게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내재화와 내사화의 갈림길에서 결정적 방아쇠 역할을 하는 것은 바로 ‘자기 의미로의 전환’ 여부다. 자기 의미로 전환했다는 것은 무엇일까? 앞서 언급한 인재상 제시의 세 가지 요소가 힌트다. 가치판단, 사실적 기준, 행동 지침 이 세 가지가 모두 명확히 제시되지 않으면 그 인재상은 내재화되지 않는다. 어느 하나라도 결여된 상태로 인재상이 제시되면 ‘자기 의미로 전환’하는 데 결함이 생기기 때문이다. 이 말은 곧 외부로부터의 자극이나 경험이 완전히 자기 의미로 전환되기 위해서는 의미가 가치판단, 사실적 기준, 행동 지침이라는 세 겹 줄로 탄탄하게 구성돼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내재화 VS. 내사화’에서)
삶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경험으로부터 지혜를 얻으려면 경험에 대한 감수성과 감지성이 필요하다. 뭔가 세상에 대해 의미 있는 말을 하고 싶다면 우리의 감각을 최대한 동원해 열린 마음으로 경험을 수용하고, 수용한 경험을 맥락 속에서 감지해 프로네시스를 얻어내야 한다. 이 프로네시스는 결국 느낌표에서 나온다. 삶의 모든 국면에서 느낌표를 만들어내는 습관이 필요한 이유다.
(‘경험을 통해 지혜를 얻어내는 법, 프로네시스’에서)
이 책을 추천한 크리에이터
이 책을 추천한 포스트
연봉과 지위만 보고 이직을 계획하고 있나요? | 박정열 Hyundai Motor Group University 전임교수 | 복지 직장 회사 | 세바시 1205회
[1분 설문조사] 2020 세바시 정기 설문조사를 실시합니다! 설문에 참여하신 분 전원에게 '세바시 클래스 20% 할인 쿠폰'을 즉시 발급해드립니다.
'책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신의 특별한 우울 - 린다 개스크(Linda Gask) (0) | 2020.08.14 |
---|---|
미움이 그친 바로 그 순간 - 송봉모 (0) | 2020.08.13 |
30년차 광고 마스터가 최초로 공개하는 설득의 12가지 법칙 - 김시래 (0) | 2020.08.13 |
전쟁과 평화 -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Смерть Ивана Ильича(Lev Nikolaevich Tolstoi)) (0) | 2020.08.13 |
한 걸음씩 걸어서 거기 도착하려네 - 나희덕 (0) | 2020.08.13 |